새로워진 뉴스 소식 정리

세액 공제란? & 세액공제 종류,자녀 세액공제,세액공제한도 총정리!

부야나 2023. 9. 5. 15:23
반응형

 

세액 공제란?/세액공제 종류/자녀 세액공제/세액공제한도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세액 공제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세액 공제 종류

- 근로소득세액공제

  • 거주자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

130만원 이하 -산출세액의 55%

130만원 초과 - 71만5천원+130만원 초과금액의 30%

  • 세액공제 한도(20만원∼74만원)
3천3백만원 이하 74만원
3천3백만원 초과 7천만원 이하 74만원-[(총급여액-3천3백만원) 0.008] (최소 66만원)
7천만원 초과 1억2천만원 이하 66만원-[(총급여액-7천만원) 1/2] (최소 50만원)
1억2천만원 초과 50만원-[(총급여액-1억2천만원) 1/2] (최소 20만원)

 

- 자녀 세액공제

  • 기본공제 대상 자녀 :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공제 대상 자녀로 8세 이상의 사람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른 금액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.
  • 1명 - 연 15만원
    2명 - 연 30만원
    3명 이상 -연 30만원+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
  •  
  • 출산 입양 공제대상 자녀 : 해당 과세기간에 출산하거나 입양 신고한 공제대상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30만원, 둘째 50만원, 셋째 이상인 경우 연 70만원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.

- 연금계좌 세액공제

  1.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.
  2. 소득세가 원천징수되지 아니한 퇴직소득 등 과세가 이연된 소득 연금계좌에서 다른 연금계좌로 계약을 이전함으로써 납입되는 금액

〈 총급여액별 공제 한도 및 공제비율 〉

총급여액별 공제 한도 및 공제비율 - 총급여액(종합소득금액),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(퇴직연금 포함), 공제율 포함총급여액(종합소득금액)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(퇴직연금 포함)공제율
4.5천만원 이하(5,5천만원) 600만원(900만원) 15%
4.5천만원 이하(5,5천만원 초과) 12%

 

  • 연금저축계좌:금융회사 등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연금저축 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계좌
  •  
  • 퇴직연금계좌: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(DC형)와 개인형 퇴직연금제도(IRP), 중소기업 퇴직연금 또는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퇴직연금을 지급받기 위해 설정하는 계좌(확정기여형퇴직연금 사용자부담금은 제외)
  •  
  •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(ISA)의 계약기간이 만료되고 해당 계좌 잔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금계좌로 납입한 경우 그 납입한 금액을 납입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연금계좌 납입액에 포함 (전환금액의 10%, 3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 한도 확대*)* ISA전환금액 추가한도는 ISA 만기잔액을 연금계좌에 납입한 해만 적용한다.
  • 1주택 고령가구*가격이 더 낮은 주택으로 이사한 경우 그 차액에 대해 IRP(개인형퇴직연금) 추가 납입(1억원 한도) 허용* 부부 중 1인 60세 이상으로한다.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세액 공제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

반응형